인기 게시판 TOP 50
"야, 이거 방탄 유리야!"라며 이죽거리던 2010년 영화 '아저씨'의 김희원을 기억하는가. 성큼성큼 자동차 위로 올라와 분노에 휩싸여 총을 쏘는 차태식(원빈)의 집요함에 점점 두려움으로 변해가는 만석(김희원)의 얼굴은 '아저씨'의 명장면 중 하나다.
2007년 영화 '1번가의 기적'으로 데뷔한 김희원에게 밝은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진 순간다. 1990년대 후반부터 10년 가까이 연극 극단에서 활동하면서 오랜 무명 배우의 시간을 보낸 김희원은 '아저씨' 이후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 '미성년', '판소리 복서', '담보', '막걸리가 알려줄거야'를 비롯해 드라마 '미생', '눈이 부시게', '무빙' '한강' 등의 작품에서 주조연을 맡으며 영역을 넓혔다.
그런 김희원이 강풀 작가의 동명의 웹툰을 옮긴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조명가게'의 연출을 맡아 감독으로 데뷔했다. 지난 18일까지 8부작 전체가 공개된 '조명가게'는 미스터리한 존재들이 어두컴컴한 골목의 끝에서 환한 빛을 내는 조명가게로 모여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생과 사의 경계에서 헤매는 존재들에 얽힌 비밀을 기묘하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낸다. '조명가게'의 인물들이 빛에 이끌려 생의 의지를 되찾은 것처럼, 연출자인 김희원은 희망과 위로의 시선을 소중하게 모아 작품에 담았다.
이야기를 전부 공개하고 시청자의 다양한 평가를 받고 있는 김희원 감독을 지난 20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첫 연출작에 갖는 부담감부터 강풀 작가와의 작업 과정, 동료 배우들을 대하는 감독의 마음에 대해 차근차근 이야기했다.
● 첫 연출작, 우려와 기대 사이
영화도 아닌 드라마를 처음 연출한 김희원의 도전에 기대와 함께 우려의 시선이 교차했다. '처음'이기 떄문이다. 김희원은 "아직도 제가 감독이라고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며 "하루에도 감정기복이 많고 가슴이 두근두근하다"고 여전히 익숙하지 않은 '감독'이라는 위치에 갖는 부담을 밝혔다.
"배우와 감독으로 작품을 대할 때는 아주 큰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우선 작품을 준비하는 물리적인 시간이 그렇죠. 감독에 도전하면서 창피하지 않으면 다행이라고 생각했어요. '조명가게'에 출연한 배우들과도 개인적으로 친한데, 만약 작품이 잘 안되면 앞으로 얼굴을 어떻게 보나 싶었어요. 다른 감독들 입장에서는 제가 그들의 영역을 침범한 것일 수도 있잖아요. 걱정이 컸는데 재밌다는 반응이 많아서 다행이에요."
사실 김희원은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97학번으로 원래 연출을 전공했고, 극단 활동에 집중한 시기인 2008년에는 창작 뮤지컬 '빨래'를 제작하기도 했다. 연기를 시작해 배우로 먼저 주목받았지만 연출에 관한 관심은 놓지 않았다.
"평소에도 틈틈이 연출 공부를 했다"는 김희원은 '조명가게' 연출을 맡은 뒤부터 스태프들의 이야기를 놓치지 않고 귀담아 들었다고 돌이켰다. 프리 프로덕션 기간부터 "스태프들과 많이 소통했다"는 그는 "4회의 마지막 롱테이크 장면이나 버스 사고 같은 신들도 혼자 장난감 모형 같은 것으로 이리저리 움직이며 구상해 보기도 했다"고 밝혔다. "제가 생각한 아이디어를 스태프들한테 이야기했는데 '재미없어요' 같은 반응이 돌아오면 '안 할게'라고 답했어요.(웃음)"
● 강풀 작가의 웹툰 세계를 드라마로 옮기며
강풀 작가의 세계를 드라마로 옮기는 과정은 어땠을까. 김희원에게 '조명가게'의 연출을 제안한 사람은 다름 아닌 강풀 작가다. 제안의 이유를 여전히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는 김희원은 "작품을 볼 때 저의 캐릭터를 생각하지만 전체를 생각하며 분석하는 배우라는 점 때문이 아닐까"라고 예측했다. 김희원은 지난해 강풀 작가의 웹툰이 원작인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무빙'에서 정원고등학교의 체육교사 최일환 역을 맡아 작가와 인연을 맺었다.
"처음 연출을 제안받았을 때 의아했어요. 저의 추측이지만 '무빙'을 찍으면서 작가님에게 최일환이라는 캐릭터에 대해 질문한 적이 있어요. 그는 초능력이 없잖아요. 최일환은 어떤 신념이 있어야만 목숨 걸고 싸울 수 있을 것 같았고, 그런 의견을 말했더니 작가님이 설득됐다고 하더라고요." 평소 자신이 맡은 연기를 넘어 캐릭터의 전사 등에 더 많은 부분에서 깊이 고민하는 모습을 보고 강풀 작가가 연출을 제안한 것 같다는 의견이다.
김희원은 "강풀 작가와 치열하게 이야기 나누었고 서로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타협했다"고도 밝혔다.
"대본을 먼저 봤고, 그 뒤 강풀 작가가 '조명가게' 만화책 3권을 건네주었어요. 만화의 컷 안에 인물들의 가장 스페셜한 표정이 담긴다고 생각했어요. 영상에서는 연결이 중요하다보니 컷마다 생기는 공간과 사이를 잘 담아내야했어요. 캐릭터나 이야기의 변화를 잘 해석해야한다고 생각했고요. 강풀 작가님의 작품에는 어떤 정서가 있죠. 그런 정서를 잘 살리느냐, 못 살리느냐가 관건이었어요."
밤마다 버스정류장 앞에서 누군가를 기다리는 지영(설현)에게 호기심을 느끼고 말을 거는 현민(엄태구), 어느 순간부터 말을 하지 못하는 엄마 유희(이정은)의 심부름을 기억하고 조명가게를 방문하는 현주(신은수), 골목길에서 김광석의 노래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부르는 고등학생 기웅(김기해), 새로 이사 간 집에서 기이한 일을 겪는 선해(김민하)까지. 각각 단편적인 에피소드처럼 보이는 인물들은 어두컴컴한 골목길의 끝자락에 위치한 조명가게로 모인다. 그만큼 드라마에서 조명가게의 공간은 중요했다.
연기만 잘하는줄 알앗는데 연출도잘하시네요
작성자 열정적인라임W116452
신고글 '조명가게' 김희원 감독이 밝힌 캐스팅부터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