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얼굴> 원작 그래픽노블 결말 해석부터 쿠키 영상 유무, 무대인사 일정, 관람평과 평점까지 정리했습니다. 원작과 영화의 차이, 배우 박정민의 1인 2역 연기, 제작비 비하인드까지 확인하세요.
1. 영화 얼굴, 어떤 작품인가?
• 장르: 스릴러·미스터리 • 감독: 연상호 • 원작: 동명의 그래픽노블 • 출연: 박정민, 권해효, 신현빈, 한지현, 임성재 • 개봉일: 2025년 9월 11일 • 러닝타임: 1시간 42분 •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
영화 <얼굴>은 연상호 감독이 직접 쓴 그래픽노블을 원작으로 한 실사 영화입니다. 주인공 임동환(박정민 분)이 40년 전 사라진 어머니의 죽음을 둘러싼 진실을 파헤치며, 단순한 미스터리에서 나아가 사회적 폭력과 존재의 부재를 드러내는 이야기입니다.
▶ 요즘 제일 핫한 <폭군의 셰프> 시청률은? (클릭)
2. 영화 <얼굴> 원작 결말 해석
(1) 진실의 추적
임동환은 어머니 정영희의 시신 발견 후, 단순 범죄가 아닌 사회적 망각 속에서 어머니의 삶이 지워진 이유를 찾습니다.
(2) 얼굴의 상징성
얼굴은 단순한 외형이 아니라 정체성과 존재를 뜻합니다. 원작에서 끝내 드러나지 않는 ‘얼굴’은 곧 사회가 외면한 존재들의 상징입니다.
(3) 결말의 여운
원작은 사건 해결보다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며 끝납니다. “나는 누구의 얼굴을 잊고 살아왔는가?”라는 물음이 남습니다.
3. 영화와 원작의 결말 비교
구분 | 원작 | 영화 |
결말 구조 | 열린 결말, 얼굴의 부재로 사회적 망각 강조 | 원작 구조 유지, 영상미와 긴장감 강화 |
메시지 | 존재 지움과 사회적 폭력 고발 | 배우들의 연기로 체험적 메시지 전달 |
여운 | 질문과 여운 중심 | 감각적 체험과 몰입 강조 |
4. 결말이 던지는 질문
존재와 기억: 잊혀진 이들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
사랑과 상처: 가족에게 남은 고통은 어떻게 치유되는가? |
사회적 폭력: 구조적 망각은 개인의 삶을 어떻게 지우는가? |
5. 쿠키 영상 유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쿠키 영상은 없습니다.
엔딩 크레딧 끝까지 봐도 추가 장면은 나오지 않습니다.
6. 얼굴 무대인사 일정
9월 13일(토): CGV 용산아이파크몰, 롯데시네마 건대, 월타 |
9월 14일(일): 목동, 영등포, 홍대, 용산 |
9월 20일(토): 부산(메가박스 사상, CGV 서면), 대구 주요 극장 |
참석자: 박정민, 권해효, 신현빈, 임성재, 한지현, 연상호 감독
7. 관람평 & 평점
영화 <얼굴>은 러닝타임이 약 1시간 42분으로 짧고 간결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특히 후반부 반전과 열린 결말은 단순한 충격이 아니라, 영화를 다 본 뒤에도 오래 곱씹게 만드는 여운을 줍니다.
주연 배우 박정민은 이번 작품에서 1인 2역을 맡아 서로 다른 심리를 가진 캐릭터를 완벽히 소화했습니다. 동일 인물의 이중성을 표현하면서도 각각의 캐릭터를 설득력 있게 연기해 호평을 받았고, 일부 관객은 “이제야 박정민이 왜 주목받는 배우인지 알겠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관객 평점은 대체로 6~7점대로 예상됩니다. 대중적 오락성보다는 메시지와 철학적 해석에 무게가 실려 호불호가 갈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평점을 낮게 준 관객들도 연기와 연출의 완성도는 인정한다는 점에서 합의가 이루어집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작품이 제작비 약 2억 원의 초저예산 영화라는 사실입니다. 박정민은 노개런티로 참여해 화제가 되었는데, 이는 작품에 대한 신뢰와 감독과의 협업 의지가 반영된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백한 연출과 긴장감 있는 영상미를 확보해, “작은 예산으로도 충분히 완성도 있는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평가를 얻고 있습니다.
FAQ
Q. 영화 얼굴은 실화인가요?
A. 실화에서 일부 모티브를 가져왔지만, 기본적으로는 연상호 감독의 그래픽노블을 원작으로 한 창작물입니다.
Q. 쿠키 영상이 있나요?
A. 없습니다. 엔딩 크레딧 이후 추가 장면은 나오지 않습니다.
Q. 어디서 볼 수 있나요?
A. 현재 극장에서 상영 중이며, OTT 공개 일정은 추후 발표될 예정입니다.
영화 <얼굴>은 원작의 열린 결말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영상적 긴장감을 더해 관객에게 강한 여운을 남깁니다. 얼굴이 끝내 드러나지 않는다는 설정은 기억과 망각, 사랑과 상처, 사회적 폭력을 동시에 담아내는 강력한 상징 장치입니다.
👉 여러분은 영화 <얼굴>의 결말을 어떻게 해석하셨나요? 마지막에 여러분의 생각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
.
<함께 보면 좋을만한 HOT 게시글>
▣ 백번의 추억 몇부작일까? ott 인물관계도 줄거리
▣ 은중과 상연 퀴어인가요? 원작부터 출연진, 몇부작까지
▣ 북극성 4화 공개시간 몇시? 1~3화 후기부터 공개 일정 한눈에 정리